URI , URL , URN
URL / URI / URN 차이점 URI - 자원의 식별자 URL - 위치(Location) URN - 이름(Name)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
URL / URI / URN 차이점 URI - 자원의 식별자 URL - 위치(Location) URN - 이름(Name)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가 가능해지면서 서로 다른 컴퓨터 사이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프로토콜이 발전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여러 회사에서 각각의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지만 통일된 규정이 없었기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IP(Internet Protocol) IP란? IP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 등을 쓰는 다양한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약속된 데이터 이동 간의 규약이다. IP는 osi 7계층 중,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파일을 전송하거나 등의 모든 행위를 할 때 컴퓨터(서버) 간에 데...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정규식(Regular Expression)은 문자열에서 특정 내용을 찾거나 대체 또는 발췌하는데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입력칸에 전화번호나 이메일을 입력하라고 했을때 옳지 않은 값을 입력하면 정규표현식에 의해 필터링되어 걸러져 경고창을 띄우는 화면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반복문과 조건문...
벨만 포드 알고리즘 벨만 포드 알고리즘은 그래프 내에서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모든 간선의 비용이 양수일 때는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된다. 1번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기 위한 최소 비용을 구해본다고 하자. 양수 간선 하지만 음수 간선이 포함된다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음수 간선 포...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워셜(Floid-Washal) 알고리즘은 모든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해당 알고리즘은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최적이 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최단경로를 찾는다. 대부분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 동작 원리 대부분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다른 노드를 거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대표적인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다. 인공위성 GPS 소프트웨어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특정한 하나의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으로 가는 최단 경로를 계산한다. 이때, 거리가 음수인 간선은 포함할 수 없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복잡한 문제를 더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나누어서 그 결과를 저장하여 다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 DP를 쓰는 이유 일반적인 재귀(Naive Recursion)...
BFS(Depth-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 완전 탐색 시작 노드에서 출발해 시작 노드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노드를 먼저 방문하면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FIFO 탐색 -> Queue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목표 노드에 도착하는 경로가 여러개일...
DFS(Depth-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DFS(Depth-First Search)는 그래프 전체를 탐색하는 방법(i.e., 완전 탐색) 중 하나로, ‘깊이’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DFS는 한 노드를 시작으로 다음 분기(branch)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한다. 예를 들어, DFS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