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hub란?
git, git hub
git
오픈 소스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로컬에서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및 소스 코드 관리에 사용
Git은 쉽게 말해서 버전관리 소프트웨어이다.
로컬 저장소의 모든 변경사항을 기록하여 파일의 버전관리가 용이해진다.
git hub
Git Repository를 위한 웹 기반 호스팅 서비스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해서 로컬에서 버전 관리한 소스코드를 업로드하여 공유 가능
분산 버전 제어, 액세스 제어, 소스 코드 관리, 버그 추적, 기능 요청 및 작업 관리를 제공
Github는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이다.
위에서 Git으로 프로그램의 버전을 관리한다고 했는데, 이러한 Git은 로컬 저장소에서 작동하기에 다른 개발자와 작업을 공유하고 협업하기 어렵다.
이때 Github를 사용해서, 웹 상에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로컬 저장소의 코드를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 작업물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고, 반대로 다른 사람의 작업물을 받아와서 작업할 수도 있다.
git 배우는 이유
버전 관리
코드가 날아감을 방지
한 파일로 버전 관리
ex) 패치에 문제가 있는 상황
배포: v1.0.0
패치 후: v1.0.1
패치에 문제가 있어 배포로 돌아가고 싶음! => 두 파일로 따로 만들어야함. => git으로 한 파일로 관리!
협업(git으로 하면 가장 편함)
ex) 한 보고서를 다른 두사람이 접근하여 수정한다고 가정
직원 A: 보고서1 수정
직원 B: 보고서1 수정
=> 두명의 작업을 모두 관리하면서 효율적으로 합칠 수도 있음!
Repository 생성 후 로컬 프로젝트와 연결
1. git init
git에서 관리하고 싶은 파일 위치로 이동 후 git init을 통해 내 컴퓨터에 로컬 Git Repository를 만든다.
이 과정은 처음 한 번만 진행되며 git init후에는 .git폴더가 생성되어 git이 내부적으로 버전 관리를 해줌.
2. git status
로컬 Git Repository에 상태를 확인한다.
3. git add .
전체 파일을 commit을 하기 위해 추가한다.
4. git commit -m”commit message”
작성한 commit 메세지와 함께 로컬 git repository에 commit 한다.
여기까지는 로컬 git repository를 만드는 작업이였으며 아래에서부터는 로컬 git repository를 git hub repository에 연동하는 작업이다.
이후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git hub에서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해준다.
5. git remote add origin git repository 주소
생성된 repository의 주소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여 입력해준다.
이 과정이 로컬 repository와 git hub의 repository를 연결하는 작업이다.
6. git remote -v
로컬 Repository와 Github Repository가 잘 연결되어있는지 상태를 확인한다.
7. git push origin main
Github Repository에 로컬 Repository 내용을 push(푸쉬) 한다.
📑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