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랜카드(LAN Card, NIC - Network Interface Card)

1. 환경에 따른 분류

용도설명
이더넷(Ethernet)용가장 일반적인 랜카드, 현재 대부분 사용. 유선 LAN 환경에서 사용.
토큰링(Token Ring)용IBM 계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방식,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광섬유 기반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됨. 대기업, 캠퍼스 네트워크에서 일부 사용됨.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고속 멀티미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 패킷 대신 셀(Cell) 기반 전송.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현재는 대부분 이더넷 기반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FDDI나 ATM은 특수 환경에서만 사용됨.




2. 설치 방식에 따른 분류

설치 위치설명
데스크톱용 (내장형)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거나, PCI/PCIe 슬롯에 장착하는 방식
노트북용 (PCMCIA / ExpressCard)구형 노트북에서 사용하던 카드형 랜카드
외장형 (프린터 포트형)구형 시스템에서 병렬 포트를 이용해 랜카드를 연결하던 방식
USB 포트형요즘 많이 쓰이는 외장형 무선/유선 랜카드, 휴대성 좋음

✔️ 자신의 PC 환경에 맞는 설치 방식을 선택해야 함.




3. 버스 방식에 따른 분류

버스 종류설명
ISA구형 시스템용. 느리지만 과거에 사용됨.
PCI중간 세대 데스크탑에서 널리 사용되던 방식
EISA고급형 서버에서 사용되던 고속 확장 버스
PCI Express (PCIe)현재 대부분의 고속 랜카드에서 사용되는 방식. x1, x4, x16 등 다양
USB외장형 랜카드에 사용. 설치 간편.
M.2 / Mini PCIe노트북 내부 무선 랜카드에 사용됨

✔️ PC의 메인보드 슬롯 종류에 맞는 랜카드를 선택해야 함.




4. 속도에 따른 분류

속도설명
10 Mbps초창기 Ethernet 속도,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음
100 Mbps (Fast Ethernet)한동안 가정/사무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됨
10/100 Mbps자동 전환 가능 랜카드
1 Gbps (Gigabit Ethernet)현재 가장 일반적인 속도
2.5G / 5G / 10G / 40G / 100G고속 서버, NAS, 데이터센터용 고속 통신

💡 예: 10 Mbps = 10,000,000 bit/sec → 약 1.25 MB/s
실제 전송 속도는 오버헤드(TCP/IP 등) 때문에 더 낮음 (보통 60~80% 효율)




5. 접속 케이블 종류에 따른 분류

케이블 종류설명
TP (Twisted Pair)일반적인 RJ-45 커넥터 사용, Cat5e/6 등. 현재 주류
BNC (동축 케이블)토큰링 등에서 사용되던 방식. 구형
AUI (Attachment Unit Interface)과거 이더넷 연결에 사용,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음
광케이블 (Fiber Optic)고속 전송용. SFP/SFP+ 모듈 통해 연결, 서버/백본망 사용

✔️ 사용 환경과 요구 속도에 따라 케이블 종류 선택 필요
✔️ 대부분 일반 가정/사무실은 TP (UTP, Cat5e/6) 사용




6. IRQ와 Base Memory 개념

  • IRQ (Interrupt Request):
    • 장치가 CPU에게 “작업해줘!” 라고 요청하는 인터럽트 신호
    • 랜카드는 목적지 MAC 주소가 자신의 것과 일치할 때 IRQ를 발생시킴
  • Base Memory (I/O 메모리 주소):
    • CPU가 해당 장치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메모리 주소 범위
    • IRQ가 발생하면 CPU는 이 영역을 통해 장치 상태나 데이터를 읽음

✔️ 요즘 시스템은 대부분 Plug & Play로 자동 설정됨
✔️ 구형 시스템은 수동 설정 필요할 수도 있음




📌 전체 요약

분류 기준종류
환경이더넷, 토큰링, FDDI, ATM
설치내장형, 외장형, PCMCIA, USB
버스 방식ISA, PCI, PCIe, EISA, USB
속도10M, 100M, 1G, 10G 등
케이블 종류TP(RJ-45), BNC, AUI, 광케이블
하드웨어 자원IRQ, Base Memory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