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네트워크를 알아보기 위해 가정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하다.
보통 통신사를 통해서 인터넷에 가입하게 되면 IP주소를 할당해준다.
IP 주소(IP Address)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
그 다음 인터넷에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들을 알아보자.
모뎀(modem)
-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신호 변환 장치
공유기(home router)
여러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하나의 IP주소로도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 소속
물리적으로 인터넷 연결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선을 모뎀에 연결
모뎀에 공유기를 연결
모뎀과 공유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하였다면,
smartTv, 컴퓨터, 핸드폰이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기기들이 공유기를 통해서 인터넷과 연결이 되며 동시에 각각의 기기들도 서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해진다.
ex) 컴퓨터에 저장된 영화를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smartTv에서도 시청 가능함.
추가로 컴퓨터 2대를 구매했다고 가정해보자.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와 연결을 해주어야하는데 유선으로 연결하려고 보니 랜포트가 부족하다!
그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스위치이다.
스위치(Switch)
같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보통 공유기의 랜(LAN)포트 수가 부족할 때 사용
스위칭 허브 혹은 그냥 허브라고도 불림
먼저, 스위치와 공유기를 랜선으로 연결시키고 스위치와 각각의 컴퓨터를 랜선을 통해 연결시킨다.
새로운 컴퓨터 2대도 같은 네트워크의 소속이 되며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진다.
네트워크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LAN(Local Area Network)
집, 학교, 회사 건물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을 연결해서 데이터나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LAN을 구성하는 중요 기술
- Ethernet: 유선 통신
- wireless LAN(wi-fi): 무선 통신
WAN(Wide Area Network)
여러 LAN이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서 멀리 떨어진 기기들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네트워크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네트워크로 은행의 ATM, wireless WAN(4G, 5G), Internet등을 말한다.
인터넷
WAN의 일종으로, 전 세계의 LAN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전 세계의 네트워크들이 결합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일반 사용자나 회사, 기관 등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우리나라로 생각하면 kt, sk 브로드 밴드, lg u+가 있다.
그렇다면 내가 가입한 ISP를 통해 어떻게 인터넷에 있는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 걸까?
그 답을 찾기 위해서는 인터넷의 코어가 ISP들에 의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위의 그림처럼 다양한 ISP들이 자신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있다.
ISP는 역할과 규모에 따라 tier가 나뉜다.
ISP Tier
Tier 1 | Tier 2 | Tier 3 |
---|---|---|
-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 보유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 접근 가능 - 인터넷 중추 역할(backbone) - 트래픽 전송 비용 없음 | - 국가/지방 범위 네트워크 보유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tier1에 비용 지불하여 연결 | -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상위 tier에 비용 지불 |
그렇다면 ISP 네트워크 간에는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위 그림에서 동그란 장치를 라우터라고 하며 이것을 통해 연결된다.
라우터(Router)
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
예를 들어 회사 A -> 회사 B로 데이터 전송한다고 가정해보자.
회사 A에서 가입한 ISP의 라우터에 데이터 전송
라우터는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회사 B로 가기 또 다른 라우터로 이동
데이터가 목적지 IP에 도착할 때까지 2를 반복
📑 참고 자료
[입문용] 네트워크와 인터넷 개념 설명! 인터넷 동작 방식도 설명! ISP도 설명! 전체 큰 그림을 그리기에 딱 좋은 영상이죠 👍